본 포스팅은 종목추천을 위한 포스팅이 아닙니다. 모든 투자의 최종 판단및 결정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으며 본 포스팅은 그로인한 투자의 손실에 대해서 책임지지 않습니다. |
미국 LA의 산불사태가 심상치 않습니다. 현재까지 알려진 재산피해만 88조원 정도라고 합니다.
https://www.yna.co.kr/view/AKR20250111006300075?input=1195m
LA 산불 나흘째 서울시 ¼ 크기 면적 태워…88조원 손실 추정 | 연합뉴스
(로스앤젤레스=연합뉴스) 임미나 특파원 = 미국 서부 최대 도시 로스앤젤레스(LA)에서 동시 다발한 산불이 나흘째 확산하면서 서울시 면적의 ¼가...
www.yna.co.kr

인명사고와 재산피해를 입은 분들의 사정이 매우 안타깝습니다.
하루빨리 조속한 피해회복이 되길 바라며 빠른시간내에 산불이 잡히길 기대합니다.
현재 산불로 인해서 전력설비 관련주들의 흐름이 지난 1월 10일에 흐름이 나왔습니다.
오늘은 그래서 미국 산불관련주를 한번 정리해보고자 합니다.
산불로 인해 전력망에 큰 피해를 입고 있고 그런 뉴스에 힘입어 관련주들의 무더기 상승을 기록하였습니다.
●제일일렉트릭
시가총액 2,013억 / 상장주식수 22,220천주 / 유통비율 39.5%

지난 금요일 강한 시세를 만들어냈던 제일일렉트릭입니다.
1,500억원이 넘는 대량 거래대금을 동반하며 관련섹터의 대장주격인 흐름을 보여준 제일일렉트릭은
앞선 저항대에 가격을 바짝 붙여놓으면서 거래를 마감하였으나 시간외단일가 거래에서 상한가를 기록하였습니다.
전고점인 15,450원대까지 추가적인 흐름이 나오는지를 관찰해볼 필요가 있겠습니다.
●비츠로테크
시가총액 2,78억 / 상장주식수 26,200천주 / 유통비율 39.87%

비츠로테크의 경우에도 1월 10일 7,930원에 종가를 마감하였으나 시간외 단일가에서 추가적으로 약 7%대의 상승을
기록하였습니다. 대표적인 전기전력설비주로 하락추세에 놓여있던 주가가 이번 뉴스를 등에업고 추세전환을
시도중입니다. 향후 관련주들이 시장의 상승을 견인하는지를 눈여겨 볼 필요가 있겠습니다.
●위닉스
시가총액 1,146억 / 상장주식수 17,873천주 / 유통비율 40.5%

https://www.widedaily.com/news/articleView.html?idxno=256176
[특징주] 위닉스 주가 급등, 캐나다 산불 당시 판매량 급증 재현될까...미국 산불에 수요 기대
미국에서 대규모 산불이 이어지는 가운데, 위닉스(044340) 주가가 큰 폭으로 상승했다. 10일 오전 위닉스의 주가는 전 거래일 대비 1125원(22.7%) 상승한 6060원에 거래됐다.미국 캘리포니아를 포함한
www.widedaily.com
위닉스는 전력설비 관련주는 아니지만 공기청정 공기정화관련종목입니다. 산불관련해서 가장 빠르게 움직임을
보여준 종목이며 과거 캐나다 산불 당시에도 산불관련주로 엮여서 흐름을 만들어낸 종목입니다.
하락추세에 놓여있는 종목이었지만 역시나 이번 뉴스를 등에업고 추가적인 상승흐름을 만들어내 추세를 전환시키는지
관찰해볼 필요가 있겠습니다.
이런 사건관련 종목들은 해당 이슈가 소멸되면 빠르게 주가가 원위치 되거나 하락하는 경향이 짙으므로
매우 주의를 해야합니다.
상기 언급한 종목외에 산불관련주로는
파라텍, 세명전기, 한컴라이프케어, 제룡산업, 제룡전기등이 있습니다.
이번 산불사태가 빠른시간내에 소멸되길 희망합니다. 더불어 피해를 입은 분들께 심심한 위로를 전하고 싶습니다.
2025.01.07 - [주식정보] - 조선 관련주 정리 및 조선테마주(HJ중공업,한화오션등)
조선 관련주 정리 및 조선테마주(HJ중공업,한화오션등)
작년까지 지지부진하던 시장이 2025년 들어서 조금 변화를 맞이한것 같습니다. 정국은 어수선하고 혼란스럽지만 이미 2024년도에 세계증시에서 거의 외톨이 수준으로 떡락을거듭하던 한국증시
bravomy.tistory.com
2025.01.05 - [주식정보] - 양자암호 테마주 정리및 전망
양자암호 테마주 정리및 전망
○양자암호기술4차 산업혁명이 본격화되면서 정보 보안의 중요성이 그 어느 때보다 커지고 있습니다. 기존의암호화 기술은 점점 고도화되는 해킹기술과 양자 컴퓨터의 등장으로 인해 취약성을
bravomy.tistory.com
댓글